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48x148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RyHio/btqKXLrxO64/4WU3itCPPjmIqXgfUAaOQk/img.png)
지도없이 방향 찾기 낯선 지형에서 지도없이 방향을 찾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다. 그 중 가장 단순한 방법은 북쪽 방향을 찾은 후 주변을 분석하는 것이다. 그럼으로써 가상의 나침반(바람의장미라고도 함)을 떠올린 후 실제 지형과 연결하는 것이다. 지도가 없을 때 의지할 수 있는 것들 ● 태양궤적 . 해는 동쪽에서 뜨고 서쪽으로 진다. 프랑스 알프스의 여름철에는 오후 1시30분에, 겨울철에는 오후 12시 30분에 태양이 정남에 위치한다. . 남반구에는 정오 때 태양이 정북에 위치한다. ● 별 . 북반구의 맑은 날, 소북두칠성 끝 부분에 자리한 북극성을 찾는다. 이 별자리는 아주 밝지는 않기 때문에 밝게 빛나는 큰곰자리의 북두칠성과 W모양의 카시오페이아자리 중간 지점을 찾아도 된다. 또한 북극성은 큰곰 자리의..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48x148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17utn/btqKYm55eqp/VQ3T9wDIS9m2uDpJ9KfGuk/img.png)
독도법이란? 다른 모든 기술들과 마찬가지로 독도법 역시 배워야 하는데, 일부의 사람들이 자랑하는 방향감각은 근거없는 것이다. 독도법을 한 문장으로 정의하면, '당신이 어디로 갈지 결정하기 위해 지금 어디에 있는지를 아는 것'이다. 따라서 지형이자 조건, 이를테면 안개, 뇌우, 숲 등이 나쁠수록 다른 곳으로 이동하기 전, 자신의 위치를 더욱 정확하게 알아야 한다. 악천후에서 길을 잃는 것은 매우 위험하다. 이 경우에는 그 자리에 머무느며 피신처를 찾고, 날씨가 좋아져 다시 방향을 찾을 때까지 기다리는 것이 가장 좋다. 독도법은 실제 지형과 지도 사이에 연속선을 만드는 것이다. 지도는 지형에 무엇이 나타날 지 알 수 있게 하며 지형은 그것들을 확인하고 지도를 따라 추적할 수 있게 한다. 설사 GPS가 있더라..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48x148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cg4byJ/btqKhjHHjrN/s7FvRjYcKV3gdZyN4pKQPk/img.png)
등산의 위험요소(눈사태, 크레바스, 악천후) 등산은 다음과 같은 위험요소가 발생한다. - 장비사용 미숙과 코스를 등반하는데 필요한 등반기술부족 등으로 인한 위험 - 통제가 불가능한 자연 환경에서의 위험 위와 같이 일반적인 등산 위험요소에 대해 알아본다. 위험에 맞닥뜨렸을 때 안전하게 대처할 수 있다. 아래와 같은 등산 위험요소들을 충분히 인지하고, 안전한 산행을 즐기도록 한다. 4. 눈사태 겨울철 눈사태는 하이커, 등산가, 클라이머에게 가장 큰 우려의 대상이다. 여름철에도 상당한 위험요소가 될 수 있다. 고산지대에서는 한여름에도 장시간 날씨가 좋지 않으면 겨울과 같은 환경이 되기 때문에 눈사태가 일어날 가능성이 충분하다. 다음은 이를 대비하기위한 기본 예방책이다. ○ 야간에 설산 등반을 떠날 때에는 섭씨..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48x148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nKrpC/btqKdFEHfRq/kPwxNc1wH2qT24EVxSFnn0/img.png)
등산의 위험요소(낙석, 세락 붕괴, 눈처마) 1. 낙석 낙석은 암벽뿐만 아니라 경사가 완만한 곳에서도 발생한다. 등산가와 클라이머, 하이커 모두 위협하는 것이다. 다음과 같은 조건에서 낙석이 일어날 확률이 높다. ○ 불안정한 바위나 낭떠러지, 갈라져 있거나 약한 암석으로 이루어진 암벽(풍화된 석회암) ○ 낙석 시 한 군데로 모여서 떨어지도록 형성된 지형(골짜기나 협곡) ○ 표면위의 눈이 최근에 녹아 헐겁고 푸석한 바위들로 이루어진 지형 ○ 고지대의 온도가 높을 경우, 눈이나 영구 등토층이 쉽게 녹아 내린다. ○ 경사면 위쪽에 다른 이들이나 야생 동물이 있는 경우 ○ 강한 뇌우와 비바람이 동반되는 경우 2. 세락 붕괴 빙하가 이동하면서 세략은 언제든지 무너질 수 있다. 다음의 방법으로 최소화할 수 있다. ..